본문 바로가기
알쓸집합

2025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총정리!

by 총총블로그 2025. 3. 21.
반응형

식당이나 카페, 유흥업소, 급식소 등에서 근무하려면 보건증(정식 명칭: 건강진단결과서)이 필수입니다.
그런데 바쁜 일상 속에서 보건소 두 번 방문하기, 솔직히 너무 번거롭죠?

2025년부터는 공공보건포털을 통해 보건증을 집에서 간편하게 발급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 프린터 없이도 출력 가능한 방법, 자주 묻는 질문, 발급 안 되는 경우까지 상세히 알려드릴게요.


✅ 보건증이란? 왜 필요한가요?

 

보건증은 식품위생법에 따라, 식품이나 음료를 다루는 모든 종사자가 정기 건강검진을 받고 이상이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입니다.

📌 의무 제출 업종:

  • 음식점, 제과점, 카페
  • 급식소, 학교, 복지관
  • 유흥주점, 노래방, PC방 일부

보건증이 없으면 취업이 지연되거나, 업소가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어요!

 

보건증 인터넷발급 바로가기


💻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(2025년 최신)

1. 공공보건포털 접속

보건증 인터넷발급 바로가기

2. 증명서 발급 클릭

  • 메인 화면 상단의 ‘증명서 발급’ 메뉴 선택
  • ‘건강진단결과서(보건증)’ 클릭

3. 본인인증 진행

  • 공동인증서, 카카오 간편인증, 휴대폰 인증 중 택 1
  • 인증 완료 후 본인 명의 보건증 조회 가능

4. 출력 or 저장

  • 보건증 발급 화면에서 PDF 저장 또는 프린터 출력
  • 프린터가 없을 경우 USB 저장 후 편의점 출력 가능

🧪 보건증 검사 항목 및 유효기간

검사 항목해당 대상 업종
폐결핵(흉부X-ray) 전체 업종
장티푸스 검사 식품, 급식, 조리업 종사자
전염성 피부질환 검사 전체 업종

📅 유효기간

  • 일반 업종: 1년
  • 학교/급식 종사자: 6개월

📝 검사 결과 등록까지 3~7일 소요되므로, 검진 후 일정 여유 두세요!


📌 이런 경우 인터넷 발급 불가!

  • 건강검진 후 1년 경과된 경우 (유효기간 초과)
  • 검사받은 기관이 시스템 미연동 상태인 경우
  • 검사 결과 미등록 상태인 경우 (보통 3~5일 기다려야 반영)

🔄 이 경우엔 가까운 보건소 직접 방문이 필요합니다.


💡 자주 묻는 질문 (FAQ)

 

Q. 프린터가 없어요. 어떻게 출력하죠?
👉 PDF로 저장 후 편의점 스마트출력(GS25, CU, 세븐일레븐 등) 사용 가능!

Q. 모바일로 출력 가능한가요?
👉 출력은 어렵지만, PDF 파일 저장 후 메일 전송하여 PC에서 출력 가능해요.

Q. 부모님이나 자녀의 보건증도 출력 가능하나요?
👉 아니요. 보건증은 본인만 발급 가능합니다. 대리인 발급은 안 됩니다.

✨ 마무리 요약

2025년 보건증 발급, 이젠 더 이상 복잡하지 않아요!
공공보건포털 접속 → 인증 → 출력만으로 끝!
이제 줄 서서 기다리지 말고, 집에서 5분이면 해결하세요.

보건증 인터넷발급 바로가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