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부정책

주거안정 월세대출 신청✅

by 총총블로그 2025. 4. 7.
반응형

주거안정 월세대출 2025년 완벽정리 (신청 자격부터 방법까지 한눈에)

2025년에도 월세로 고민하는 많은 분들을 위한 정부 지원 제도, 바로 **‘주거안정 월세대출’**입니다. 무주택자이면서 소득이나 자산 기준을 충족한다면 최대 월 60만 원까지 정부가 저금리로 월세를 지원해줍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주거안정 월세대출의 신청 조건, 대출 금리 및 한도, 신청 방법, 그리고 실제 신청 시 주의사항까지 최신 정보만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주거안정 월세대출이란?

 

‘주거안정 월세대출’은 무주택 저소득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정책자금 대출입니다. 월세로 사는 세입자라면, 일정 조건만 갖추면 최장 10년간 저리로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.


🏠 신청 자격 (2025년 기준)

📌 공통 조건

  • 만 19세 이상 세대주
  • 무주택자 (세대 전원이 무주택일 것)
  • 임대차계약 체결 후 보증금의 5% 이상을 납부한 경우
  • 부부합산 순자산 3.61억 원 이하

📌 소득 요건

  • 우대형: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+ 특정 조건 해당
  • 일반형: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(우대형 조건 미해당자)

📌 우대형에 해당하는 경우

  • 취업준비생 (만 35세 이하, 무소득, 부모 소득 6천만 원 이하)
  • 사회초년생 (취업 후 5년 이내, 연소득 4천만 원 이하)
  • 근로·자녀장려금 수급자
  • 주거급여 수급자
  • 희망키움통장 가입자 등

💸 대출 한도 및 금리

항목내용
월 대출한도 최대 60만 원
총 한도 최대 1,440만 원
대출 금리 우대형: 연 1.3%, 일반형: 연 1.8%
대출 기간 기본 2년 (최대 10년까지 연장 가능)

※ 대출금은 임대인 계좌로 바로 입금되며, 세입자가 임의로 사용 불가합니다.


📝 신청 방법

  1.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및 확정일자 등록
  2. 필요 서류 준비
    • 주민등록등본
    • 소득 및 자산 증빙서류
    • 임대차계약서
  3. 취급 은행 방문
    • 국민, 우리, 신한은행 등 지정된 은행 영업점
  4. 대출 심사 및 승인
  5. 대출 실행 → 임대인 계좌로 월세 입금

📌주거안정 월세대출 신청 바로가기


⚠️ 신청 전 주의사항

  • 주택도시기금의 기존 대출(전세대출 등)을 이용 중이라면 중복 신청 불가
  • 공공임대주택 입주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
  • 임대차계약서는 확정일자 필수
  • 부동산 등기부 등본 확인 후 임대인의 명의와 일치 여부 확인

📞 문의 및 정보 확인

반응형